정치, 그리고 정치학/니클라스 루만 그리고 사회체계이론

[니클라스 루만] 1. 사회 체계 이론 Soziale Systeme

카이르 2011. 1. 17. 00:53




1. 니클라스 루만 <사회 체계 이론>: 서론

  중요 포인트:
   1. 사회 체계 이론은 사회의 부분 시스템이 다른 '부분 시스템'의 관계를 다룬다.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 이 반응에 관한 모든 것들은 그 시스템 내부에서 재생산되고 반응한다.
   2. 사회 체계는 '의사소통'을 통해서 존재한다. 
     각 시스템은 '특별한 목적'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갖고 있고,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들과 구분된다.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구분된다.
 

정치에 관한 글은 처음 올리는 것 같다. 그리고 정치에 관한 이야기를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으로 시작했다. 니클라스 루만을 정치학자로 분류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본인은 정치와 사회에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했기 때문이다. 그럼 정치사회학자?라고 분류해야 하나? 그 것도 좀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그는 정치와 다른 시스템과 사회의 관계를 이야기 했으니까. 사회학자라고 하는 게 옳을 것이다. 

그럼 왜 정치에 관한 글에 사회학자의 이론을 실은 이유는 무엇이냐? 
지금 난 빌레펠트 대학 정치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다. 빌레펠트 정치학과는 사회학과에서 떨어져 나왔다. 앞에 동영상에서 나왔듯이 빌레펠트 대학 사회학과는 루만이 세웠고, 루만에 의해 만들어진 과다. 따라서 정치학과에서 공부하는 내용도 루만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 아니 루만이 거의 다라고 봐도 될 것 같다. 그래서 루만의 사회 체계 이론으로 정치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그래도 정치에 관한 글을 실어야지, 왠 사회 시스템에 관한 이론에 관해 이야기하냐고 묻는다면, 루만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이 필요하다. 이 동영상은 체계이론의 기본을 잘 설명한 것 같다. 동영상에서 나온 이야기는 앞에서 이미 간략하게 줄여 놓았다. 하지만 역시 독일어를 한글로 그대로 옮기는 건, 그렇다고 의역하는 건 더 힘들다. 하지만 일단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1. 사회 체계 이론은 사회의 부분 시스템이 다른 '부분 시스템'의 관계를 다룬다.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 이 반응에 관한 모든 것들은 그 시스템 내부에서 재생산되고 반응한다.
   2. 사회 체계는 '의사소통'을 통해서 존재한다. 
     각 시스템은 '특별한 목적'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갖고 있고,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들과 구분된다.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구분된다.
 
사회는 부분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부분 시스템이란 정치, 경제, 과학, 종교, 법과 같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것들을 뜻한다. 그리고 이 부분 시스템은 내부 시스템을 갖고 있다. 정치의 경우는 정치 과정, 관료, 여론. 그리고 체계이론이 다루고 있는 것은 정치나 경제와 같은 시스템들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루만은 다른 시스템을 Umwelt(환경)라고 규정했다. 정치 시스템의 경우, 이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모두 환경에 속한다. 이 환경에서 정치 시스템은 끊임없는 Information(정보)를 얻고, 이 정보는 시스템 내부에서 재생산되고 반영되는 등의 형태로 작업된다.

이 작업이 되는 형태, 또한 한 시스템을 다른 시스템과 구분되게 하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Kommunikation(의사소통)'이다. 각 시스템은 소통을 하기 위한 도구가 있으며, 정치의 경우는 권력, 경제는 돈, 과학은 사실이다. 이러한 의사소통 도구로 시스템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고 다른 시스템들과 분리된다.

위의 설명에도 부가하고 싶은 게 많지만, 아무래도 내용은 동영상을 간추린 것으로 한정시켜야 할 것 같다. 어차피 루만의 관한 이야기는 종종 올릴 생각이니까.

여기에 있는 글을 읽을 때 조금 유의해야 할 사항은, 여기 글들이 반드시 체계이론 자체만을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난 부분적으로 사회체계이론을 수용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반대하는 부분도 있다. 이론의 반대 의견은 아마도 꼬리말로 달아놓을 것 같다. 그리고 정확하게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하고, 빌레펠트에서 공부해야 하는 한 당연히 그래야겠지만, 만약 이해한 내용 중에 틀린 것이 있다면, 언제나 비판을 해줬으면 좋겠다. 


그럼, 이제 사회체계이론에 빠져 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