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정치 썸네일형 리스트형 [민주주의/의회] 의회정치 3. 의회주의, 의회의 쇠퇴 아니면 부흥? 안녕하세요. 지난 주에 올린 '의회정치 2. 의회정치의 역사, 양원제와 단원제' (링크: http://kair17.tistory.com/54) 라는 글을 올리고 나서, 양원제를 실시하고 있는 연방제 (링크: http://kair17.tistory.com/55) 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올렸습니다. 처음에 정치 혐오에서 벗어나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의회의 역시 정치 제도의 하나이고, 그 제도에 대해서 깊게 설명하게 되니까, 여러가지 정치 제도도 소개하게 된 것 같네요. 처음에 비해서 목적이 많이 변질(?)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제도를 소개하면서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불쾌해 하실 분들도 많이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단 목적은 의회정치-정당정치-선거정치에 대해.. 더보기 [민주주의/의회] 의회정치 2. 의회정치의 역사, 양원제와 단원제 안녕하세요. 지난 주에 올렸던 '의회정치 1. 의회의 정의과 기능' 이라는 글 (바로가기 -> http://kair17.tistory.com/51 ) 에 대해서 생각보다 큰 호응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은 지루한 정치학의 내용을 다룬 거라도 재미있게 봐주셔서 고맙고요, 제 글도 홍보해주신 트친, 페친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지난 번 글에서도 그랬듯이, 이 글은 의회정치-정당정치-선거정치 순으로 적게는 8개, 많게는 9개의 해당되는 글이 올라갈 예정입니다. 곁가지로 몇 개의 글들이 더 올라가서 많으면 15편의 관련된 내용이 실린 글을 연재할 생각입니다. 이 글을 연재하는 이유는, 지난 대선에서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치에 대해서 혐오를 하고 있다는 걸 발견했고, 그 혐오가 결코 한국의 정치 발전.. 더보기 [민주주의/의회] 의회정치 1. 의회의 정의와 기능 안녕하세요. 2012년 대선이 끝나고 선거 결과에 대해서 실망도 많이 했지만, 그래도 나름 힐링을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할까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현상으로 보았던 것은 '정치 혐오'였습니다. 기존 정치, 그러니까 대의민주제에 포함된 의회정치, 정당정치에 대한 혐오. 그냥 혐오라고 봐도 되겠지만, 정치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정치가 나쁜 것만은 아닌데, 정치의 좋은 면을 홍보하기 위해서 글을 쓰고 싶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의회정치-정당정치-선거정치를 통해 현재 대의민주제를 분석해보고, 시간이 되면 직접민주주의에 대해서도 한 번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의회정치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의회정치 3파트로 나뉘어서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