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곳에서 일어난 일/독일, Deutschland, Germany

[독일연방정부/Bundesregierung] 연방정부 내각 100일 평가 안녕하세요, 다시 오랜만에 이렇게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조금 지난 떡밥이기도 하지만, 향후 3년 반 동안의 독일 정치를 이해하는 것에 필요한 연방정부, 특히 내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어 연방 내각을 평가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아마 이번 글에 제 사견이 들어가는 일은 적을 거에요. 참고로 이 글을 읽기 전에 연방 하원 선거에 관한 글을 읽으시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독일 연방의회 선거 3: http://kair17.tistory.com/78) ========================================================== 1. 2013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와 대연정 체결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2013년 9월 22일에 있었던 선거 결과.. 더보기
[Bundestag/연방의회] 독일연방의회 선거 Bundestagswahl 2013 - 3 안녕하세요, 일주일 만에 다시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트에서 예고했던 대로 독일 연방의회선거에서 가장 중요했던 두 정치인과 정당이었던 메르켈-기독교연합, 슈타인브뤽-사민당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곁다리로 좌파당과 사민당의 관계도 이야기 해보고요. ===================================================== 1. 독일 연방의회선거 결과와 의석수 이번 선거의 평을 하자면 2009년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연합(CDU/CSU)가 여론조사에서 우위였지만, 원래 연정파트너였던 자민당이 5%을 넘을 수 있을지 의심되는 상황이었고, 따라서 대연정(기독교연합-사민당)을 것인지, 흑녹(기독교연합-녹색당)을 할 것인지가 문제였죠. 하지만 대체적으로 대연정의 가능성이 높은 선.. 더보기
[Bundestag/연방의회] 독일연방의회 선거 Bundestagswahl 2013 - 2 안녕하세요, 다시 오랜만에 인사 드리네요. 이미 SNS를 통해서 제 글은 많이 접하시겠지만, 이렇게 블로그로 인사드리는 건 참 오랜만이네요. 러시아가 크림반도에 군사를 주둔시키고, 한국에서는 새정련이라는 새로운 당이 창당되었고요. 독일에서도 얼마 전에 최저임금제 법이 통과되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올리는 게 꽤 오래 지난 독일 연방 의회 선거라는 것에 매우 죄송합을 느낍니다. 그래도 이왕 시작한 거 밀고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리고 현재 독일에 대연정이 세워진 이상, 언제나 궁금해하실 수 있는 내용이라 계속 써보렵니다. 지난 내용은 독일 연방 의회선거 제도가 어떻게 결과를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링크: http://kair17.tistory.com/74) 엄연히 말하면 선거 제도가 어떻게 .. 더보기
[Bundestag/연방의회] 독일연방의회 선거 Bundestagswahl 2013 - 1 안녕하세요, 한국은 지금 통진당 정당해산청구를 당했고, 지난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은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에 출두했고, 박근혜 대통령은 영국에 화창한 날씨를 선사하며 버킹검 궁에서 잠시 체류 중이네요. 지난 번에 포스팅을 한 후 만 이틀동안 너무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블로그의 특성 상, 그 문제에 대해서는 짚고 넘어가지 않고요, 밀린 포스팅을 해야겠습니다. 9월 22일에 연방 선거가 있었고, 포스팅을 하기엔 한 달도 넘었고, 그리고 여전히 대연정계약서는 작성 중이라, 손을 놓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3일 전에 어떤 분과 트윗에서 독일 선거 제도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그 대화를 관전하고 계셨고, 저도 독일의 소식을 전달할 겸, 오늘 이렇게 포스팅을 하려고.. 더보기
2013년 바이에른 주 선거 (Landtagswahl in Bayern 2013) 2013년 9월 중순은 커다란 선거가 연달아 혹은 동시에 있습니다. 이미 지나가긴 했지만 독일에서 제일 부자 동네이며, 남동부에 위치한 바이에른 주 선거가 9월 15일에 있었고요, 오는 일요일, 그러니까 9월 22일에 독일경제 중심지인 프랑크푸르트가 위치한 헤센 주와 독일 연방의회 선거가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잠깐 독일의 선거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 연방의회선거 (Bundestagswahl): 연방 하원을 선출하는 선거입니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총선이 되겠지요. 매 4년마다 선거를 치룹니다. - 우리 식의 지방 자치제 선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선거가 두 개로 나눠져 있는데요, 일단은 연방 상원을 구성하며, 주 의회와 주 정부 구성을 위한 주 선거 (Landtagswahl) 입니다. 매.. 더보기
독일의 정치적 스펙트럼 2008년 5월 15일, 독일의 일간 신문에서 헌법보존부 Bundesamte für Verfassungsschutz의 2007년 보고회에서 내무부장관Bundesinnenminister 볼프강 쇼우블레 Wolfgang Schäuble는 독일의 극단주의에 관해서 경고한다는 것을 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극단주의는 극좌와 극우 모두 해당되는 말입니다. 실제로 독일의 우파정당인 NPD(독일민족민주당)의 당원수는 2006년 7000명에서 2007년 현재 7200명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다른 우파 정당인 DVU(독일민족연합)의 당원수는 줄었지만, 여전히 7000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DVU는 브레멘 의회에 의석 하나를 획득한 상태이며, NPD는 Mecklenburg-Vorpommern주 의회에.. 더보기
[Landtagswahl/주정부 선거] 2013 니더작센 주정부 선거 분석 2. 베를린 그리고 유권자 지난 번에 올렸던 니더작센 주정부 선거 분석이 의외로 뜨거운 반응을 얻었습니다. 역시 해적당에 대한 관심도 컸던 탓인 거 같아요. 어떤 이유에서든,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면서 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럼 이번 포스트는 지난 번에 이어서 니더작센 주의 선거가 올해 있을 연방 의회 선거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하고, 어째서 니더작센주 유권자들은 다음과 같은 투표를 한 건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혹시 지난 포스트가 관심있으신 분들은 다음 링크를 클릭해주시고요. => 2013 니더작센주 선거 분석 1. 해적당과 자민당 http://kair17.tistory.com/49 독일지도 독일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연방제 국가입니다. 연방제 국가를 가진 나라의 특징은 역사적으로.. 더보기
[Landtagswahl/주정부선거] 2013 니더작센 주정부 선거 분석 1. 해적당과 자민당 2013년 1월 20일 독일 니더작센주에서 주정부 선거가 있었습니다. 보통 선거 결과가 늦어도 9시면 되면 감을 잡을 수가 있었는데, 이번 선거는 선거가 끝난 4시간 30분이 지나서야 선거 결과가 나올 수 있을 정도로 박빙이었습니다. 그리고 선거 결과도 놀라웠고요. 대한민국 대통령선거가 끝난 후 바로 있던 선거라, 이번 선거의 관심 사항도 다른 때보다 더 세세했습니다. 일단 몇 주 전에 SPD (사회민주당) 총리후보인 Peer Steinbrück이 '총리 임금상승이 필요하다'라고 말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생각보다 크게 센세이션을 일으켰어요. '독일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책임져야 하는 총리의 임금은 적다.', '만약 이들이 경제계로 갔으면 더 많은 돈을 받았을 것이다.'라는 등의 이유로 찬성을 .. 더보기
[선거/die Wahlergebnisse] 3.25 Saarland주 정부 선거 결과 2012년 3월 25일 일요일에 Saarland주 정부 선거가 있었습니다. 선거 결과를 이야기하기 전에 일단 Saarland주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Saarland주는 위의 지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Saarlandbrücken을 수도로하는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주입니다. 독일의 3개 특별구(베를린, 함부르크, 브레멘)을 제외하고, 13개의 주 중에서 가장 크기가 작습니다. 또한 인구도 2011년 11월 기준으로 101만 4천명 정도입니다. 아직 저도 이 곳은 한 번도 방문하지 못했지만, 프랑스와 접경하고 있기 때문에 강한 프랑스어 억양이 있는 방언을 구사한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이 지역 사람들은 자신의 지역에 대한 자부심이 크다고 합니다. (Saarland주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더보기
[독일/Deutschland] 독일의 연방선거 제도 2009년 1월 12일에 http://blog.naver.com/caesar_sj에 올렸던 글을 퍼왔습니다. 신나는 소식이 있습니다. 2009년 올해 제가 있는 빌레펠트에서 다섯 개의 굵직굵직한 선거가 있을 예정이랍니다. 그게 뭐 신나는 소식이냐고요? 뭐 공감 못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전 정치학을 공부하러 왔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입니다만, 전반적으로 선거 정치에 대한 관심도 많고, 만약 논문을 쓴다면 선거 정치와 관련된 부분을 주제로 선택하겠지요. 사실 한국에서 학부논문은 이미 ‘정치광고와 한국의 선거’라는 주제로 썼고요. 2009년에 빌레펠트에서 있을 선거는 Bundestag(연방의회), Landestag(주의회), Kommunal(시의회), Bundespräs.. 더보기
[Bürgerschaftswahl in Hamburg] 20. 02. 2011 함부르크 시장 선거 밎 의회 선거 아, 어제 별 생각없이 침대에서 뒹굴거리고 있었는데, 벌써 슈퍼 선거 중에 첫 문이 열렸군요. 오늘 그 결과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함부르크 시장 선거 및 의회 선거는 2008년 2월에 열렸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로 기민당(CDU)와 녹색당(Die Grüne)의 연립정부가 구성되었습니다. 강의 시간에 어떻게 Schwarz-Grün (흑녹 연정: 기민당 녹색당 연정)이 가능한 건지에 대한 이유로 기민당과 녹색당의 지지층의 사회경제적 위치, 학력 요소들이 겹치기 때문이라고 들었던 것 같아요. 하지만 결국 이 연정은 깨지고 말았고요, 그래서 재선거를 하게 된거죠. 굳이 시 하나에서 선거를 하는 데, 그렇게 요란 떨 필요가 있냐고 물으신다면, 함부르크는 베를린, 브레멘과 더불어 특별 구역으로 실제로 하나의 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