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니클라스 루만

[Niklas Luhmann] 4. Komplixität und Resonanz 안녕하세요, 거의 일주일만에 '사회체계이론'으로 다시 인사드리는 것 같네요. 제 전공은 정치학이고, 한국에서는 일반적인 정치학을 배우고, 지금 빌레펠트 대학에 와서는 니클라스 루만의 정치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처음엔 사회체계이론을 이해하는 것도 힘들었고, 이 이론이 어떻게 대한민국에 적용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상당히 비판도 많이 했는데, 현재는 이론의 재미를 느끼고 있는 거 같아요. 오늘은 루만의 사회를 보는 시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복잡성에 대해서 다룰 겁니다. 루만이 '복잡성'이라는 말을 가까이 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사회이론에서 사회가 복잡해져있다는 부분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에 기초하여, 사회체계이론이 탄생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복잡성 (Komplixität) 이라는 말이 제목에 .. 더보기
[Review] Baden-Würtemberg 주와 4.27 재보선 선거 결과 1. Baden-Würtemberg 주정부 선거 결과와 일본 원전 폭발 2월에 '투표 행태와 미디어의 관계'라는 주제로 포럼을 연 적이 있었다. 그 때도 의견이 분분했지만, 진심으로 대중매체가 선거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해서는 고개를 갸우뚱했었다. 그리고 나서 얼마 뒤에 일본 원전 폭발 사건이 발생했고, 보란듯이 바덴 뷔르템베르크 주 선거에서 녹색당이 제 1 여당으로 등극하고 말았다. 물론 독일 국민들이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고, 핵 발전소 폭발과 더불어 방사선 유출은 원전을 갖고 있는 국가에서는 원전을 건설하는 여부를 결정할 정도로 큰 일이기도 하다. 사실 함부르크에서 재보선이 있었던 것도 이 원전을 세우느냐 마느냐에 대해서 기민당과 녹색당 연립정부가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해서 생긴 거니.. 더보기
[니클라스 루만] 1. 사회 체계 이론 Soziale Systeme 1. 니클라스 루만 : 서론 중요 포인트: 1. 사회 체계 이론은 사회의 부분 시스템이 다른 '부분 시스템'의 관계를 다룬다.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 이 반응에 관한 모든 것들은 그 시스템 내부에서 재생산되고 반응한다. 2. 사회 체계는 '의사소통'을 통해서 존재한다. 각 시스템은 '특별한 목적'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갖고 있고,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들과 구분된다.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구분된다. 정치에 관한 글은 처음 올리는 것 같다. 그리고 정치에 관한 이야기를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으로 시작했다. 니클라스 루만을 정치학자로 분류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본인은 정치와 사회에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했기 때문이다. 그럼 정치사회학자?라고 분류해야 하나? 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