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썸네일형 리스트형 [Niklas Luhmann] 4. Komplixität und Resonanz 안녕하세요, 거의 일주일만에 '사회체계이론'으로 다시 인사드리는 것 같네요. 제 전공은 정치학이고, 한국에서는 일반적인 정치학을 배우고, 지금 빌레펠트 대학에 와서는 니클라스 루만의 정치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처음엔 사회체계이론을 이해하는 것도 힘들었고, 이 이론이 어떻게 대한민국에 적용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상당히 비판도 많이 했는데, 현재는 이론의 재미를 느끼고 있는 거 같아요. 오늘은 루만의 사회를 보는 시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복잡성에 대해서 다룰 겁니다. 루만이 '복잡성'이라는 말을 가까이 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사회이론에서 사회가 복잡해져있다는 부분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에 기초하여, 사회체계이론이 탄생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복잡성 (Komplixität) 이라는 말이 제목에 .. 더보기 [Niklas Luhmann] 2. Soziologische Abstinenz 상당히 오랜만에 니클라스 루만과 사회체계이론에 관한 포스팅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번 포스팅은 첫 번째 포스팅과 별로 다르지 않는 내용이다. 사회체계이론에서 사회는 어떤 식으로 행위하는 지에 관한 글이니까.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Luhmann, Niklas (2008): "1. Soziologische Abstinenz": Ökologische Kommunikation - Kann die Moderne Gesellschaft sich auf ökologische Gefährdungen Einstellen?" (Hrsg.: Uwe Schimank),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Wiesbaden을 참조 및 구문을 인용했다. 책 이름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글도 역시 현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