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그리고 정치학/정치 커뮤니케이션

[Politik und Media] 신뢰성 - 어디서부터 그리고 무엇을 위해서? (Glaubwürdigkeit - woher und wozu?)

요새 한국에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한 선거운동의 규제에 관해 말이 많은 것 같아요. 이 논란은 과연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어느 정도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로 시작된 것 같네요. 그 와중에 독일의 한 사이트 ( http://sozialtheoristen.de/)에서 다음과 같은 글을 발견했습니다. 이 글은 과연 인터넷이 기존 대중매체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 그리고 SNS를 통한 정치가들의 유권자들과의 직접적 의사소통의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지의 질문에 답한 거라고 보시면 될듯요. 그리고 결론을 말하자면 SNS는 기존 미디어가 했던 역할을 확산한 것 뿐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Politik und Media] 신뢰성 - 어디서부터 그리고 무엇을 위해서? (Glaubwürdigkeit - woher und wozu?)

Christian Wulffs Schöner-Leben-Affäre steht stellvertretend für vieles, was derzeit nicht mehr richtig funktioniert oder immer nur sehr merkwürdig funktionierte und diese Merkwürdigkeit nun offenbart: Politiker müssen sich in ihrer Karriere gegen Parteikollegen durchsetzen, werden aber nur im Hinblick auf ihren Dienst für die Partei beobachtet; Im Parlament kämpfen Parteien gegeneinander für das Gemeinwohl. Die Demokratie ist im Großen und Ganzen ein schönes, echtes Märchen – auf einem schwierigem Weg bleibt man beim Glauben an ein Happy End.
Christian Wulff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사건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지만, 이제야 공개된 것들을 대표한다: 정치가는 자신의 정치 파트너에 반대해서 일을 추진해야 하지만, 그건 정당을 위해서 행해져야 한다. 즉, 국회에서 정당들은 공공의 행복을 위해 싸운다. 민주주의란 다수와 전체를 위한 정말 아름다고 진정한 동화다. - 사람은 행복한 결말을 믿지만, 그 것은 사실 실현하기 어렵다.

Wie schwierig es ist, wird heute auch deutlicher, weil ein weiterer Beobachter hinzugekommen ist, der beginnt, seinen Folgenreichtum abzuschätzen: der ausformulierte Gedanke des Publikums. Er sucht sich seinen Raum in der bislang exklusiven Beziehung zwischen Politik und Massenmedien. Man könnte es so ausdrücken
얼마나 어려운지 오늘날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  대중이 관찰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중은 정치와 매스미디어 관계 밖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고 있다. 그리고 이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Und auch die Diskussionen im Netz konzentrieren sich größtenteils auf die Beobachtung einer Person und nicht darauf, dass die konventionellen Massenmedien ganz langsam ein Problem bekommen: Sie müssen ihre Relevanz, ihre Vorrangigkeit gegenüber dem Internet herausstellen.

또한 네트워크상의 논쟁은 대부분 한 사람의 관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매스미디어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집중되어 있지 않다: 매스미디어는 인터넷보다 그들의 연관성과 우선성을 강조해야한다.  

Doch würde man hier implizit eine Unterscheidung mitführen, die auf einer, aber nicht der wichtigsten, Prämisse ruht. Dass nämlich Massenmedien auf der einen Seite stehen und das Internet – das folgenreiche Medium ohne konkrete Masse – auf der anderen. Die entscheidende Prämisse ist viel mehr diese: 
대중매체와 인터넷의 차이점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은 미디어에 반하여 특정한 대중을 상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전제란 다음과 같다. 
 

Journalisten können ihre Privilegien intelligent ausnutzen, die vor allem darin bestehen, exklusiven Kontakt zu Politikern zu pflegen.

언론인들은 그들의 우월함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것은 무엇보다도 정치가들과 외적인 연락을 취하는 것에 있다. 

Der Vorteil den die Massenmedien haben, liegt im Zugriff auf Raum und Zeit. Journalisten haben viel Zeit für Recherchen und sie sind dafür nicht zwingend auf Vermittlung angewiesen, sondern können im Kontakt mit der Politik die Eigenrechte der Interaktion ausnutzen. Die jüngste Empörung über den öffentlich-rechtlichen Fragenkatalog im Wulff-Interview veranschaulicht dies ganz wunderbar. Auf der einen Seite war es die Interaktion unter Dreien, die “Live-On-Tape” einfach stattfand, auf der anderen Seite waren es die medienvermittelten Interpretationen, die im Internet stattfanden. Das Gespräch war auf keine Technologie angewiesen, nur seine Verbreitung.

대중매체의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접근에 있다. 언론인들은 문헌검색 시간을 충분히 갖고 있으며, 그들은 정치와 접속할 때 그들의 상호작용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Wulff 인터뷰에서 질문에 대한 분노는 매우 놀랍다. 하나는 생방송 테잎으로 시작된 세 명의 상호작용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넷에서 시작된 미디어의 해석부분에 있다. 이 대화는 기술적인 부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대화의 확산에 놓여 있다. 

Die technologievermittelten Kommunikationsmöglichkeiten, die neue Zugänge zu Politikern gewähren, werden diese raumgebundene Interaktionssituation wie sie das Interview darstellt nicht ersetzen können. Bzw. andersherum formuliert: Sollte einmal ein junger Journalist, ein Typ wie Richard Gutjahr, seine Kameraerfahrung und Internetreputation ausbeuten und in einem Medienstunt ein U-Stream-Spontaninterview mit der Kanzlerin führen, dann ist er in allen wesentlichen Aspekten ein Massenmedium nach alter Funktionslogik. Was ihm gelänge, würde nur ihm gelingen – nicht weil er der Einzige ist, der über diese Art der Medienkompetenz verfügt und ein Publikum mobilisieren kann, sondern weil die Kanzlerin nur begrenzt Raum und Zeit für ein Interview hat.

최근 정치가들에게 부여된 기술적인 의사소통의 가능성은 인터뷰와 같이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호작용으로는 대체될 수 없다. 즉, Richard Gutjahr와 같은 타입의 어린 언론인들은 카메라 앞에서 보여지는 것과 그 해석을 간추려내야 하며, 총리와의 U-Stream의 돌발 인터뷰도 해봐야한다. 그리고 나서 그는 오래된 기능적인 논리의 따른 대중매체를 존재하는 모든 시선 안에 서 있을 것이다. 그에게 요구된 것은 그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것은 그가 미디어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 아니고, 공중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도 아니라, 제한된 공간과 시간에서 총리와 인터뷰를 했기 때문이다. 

Zurück zu Klaus eigentlicher Frage: Wie verhält es sich im Gesellschaftszirkus mit der Glaubwürdigkeit, wenn die Medien ihre gegen die der Politik(er) ausspielen und das Weiterführen des “Krieges” die Beteiligten nur weiter in einer Kommunikation verstrickt, die im Grunde nichts anderes ist als paradox: Man kann seine eigene Glaubwürdigkeit nicht behaupten, weil Glaubwürdigkeit ja Bedingung und nicht Folge einer (Glaubwürdigkeits-)Behauptung ist. Können Politiker durch direkten medialen Zugriff auf das Publikum Glaubwürdigkeit implizit mitführen, um so endlich nur inhaltlich, sachzentriert politisch kommunizieren zu können? Es ist ein Wunsch der Zeit, neue Medientechnologien in der Hinsicht auszubeuten, sich auf Sachfragen konzentrieren zu können. Doch es wird wohl nie gelingen, die Komplexität von politischen Entscheidungen allein auf der Sachebene reduzieren zu können.
 
Klaus의 질문으로 돌아가보자:  만약 미디어가 정치가에 반대하여 움직이고 모순적이라고 여겨지는 의사소통의 "전쟁"을 동반한다면 사회에서 신뢰를 어떻게 여겨야 하는 걸까?: 신뢰성이란 조건이며 어떠한 주장을 따르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믿음을 주장할 수 없다. 정치가들은 공중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사실 중심적인 내용인 정치적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신뢰성을 얻어낼 수 있을까? 새로운 미디어기술은 사실 질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필터링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하는 소망이 있다. 그러나 사실 하나만 정치적 복잡성을 줄일 수 없다.  

Das deutsche Stromnetz als politisches Thema beispielsweise ist sachlich vielleicht zu entschlüsseln. Man könnte alle inhaltlichen Aspekte ins Internet schreiben, transparent menschen- und maschinenlesbar aufbereiten. Jeder wird nachsehen können, was es hiermit und damit auf sich hat. Aber man wird es allein dadurch niemals zu einer politischen Entscheidung schaffen.
 
예를 들면 독일의 전기망에 관해서 사실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내용의 관점을 사람이나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인터넷에 쓸 수 있다. 누구나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것만 가지고 정치적인 결정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Die Sachdimension wird immer durch die Sozialdimension entlastet werden müssen. Es wird, so wie in der Politik, in den Medien immer Stars geben – und sie werden auf Technologie und Institution angewiesen sein. Glaubwürdigkeit ist eine notwendige und soziale Komponente. Wenn ein Politiker im Kontakt mit seinem Publikum ist, benötigt es einen neutralen Dritten, sei es der Wahlhelfer, sei es der Journalist, sei es der Richter. Das Internet vergrößert nur den Bereich derjenigen, die als Dritte infrage kommen. Politik benötigt die Verlautbarung des Politikers und die Zustimmung/Unterstützung im Publikum. Nur vertrauen wir nicht mehr nur gezwungener Maßen den großen Medienstars, sondern auch einzelnen, unbekannten Internetschreibern, die sich Vertrauen verdient haben: Es macht einen großen Unterschied, ob Inhalte von Sascha Lobo erwähnt und empfohlen und vom heute-Journal verbreitet werden oder ob Marius Sixtus ein belangloses “Was … sagt.” ins Internet rotzt und die RTL-II-News etwas promoten. Es bleibt beim alten Prinzip. (Die Funktionslogik ändert sich, das ist zu beobachten.)

사실에 대한 요구는 사회적 요구로 그 부담을 줄여야 한다. 정치처럼, 미디어 안에서 스타를 만들 것이다 - 그리고 그 것들은 기술과 기관에 의해 지시될 것이다. 신뢰성이란 필수적인 사회적 요소다. 만약 정치가가 자신의 공중과 접촉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중립적인 제 3자가 필요하다. 그 것은 선거도우미일 수도 있고, 언론인일수도 있고, 판사일 수도 있다. 인터넷은 그저 이 3자로서의 역할을 더 강화시킬 뿐이다. 정치가들은 자신의 유명세가 필요하고 공중의 동의와 지지가 필요하다. 우리는 그저 미디어 스타들을 믿는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신뢰가 있는 유명하지 않는 인터넷 글들도 믿는다: 그 것은 Sacha Lobo의 글이 언급하거나 추천하고, 오늘날 언론에 의해서 확산되거나 Marius Sixtus가 인터넷 "Was....sagt" 에서 말하거나, RTL 2뉴스에서 홍보되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 것은 오래된 원리다. (기능적 논리는 바뀌었고 그 것은 지켜봐야 한다.) 

Das direkte Wort eines Politikers glaubt man nicht. Auch nicht, wenn er es twittert. Irgendwer wird es autorisieren müssen und irgendwie muss es diskutiert und abgewogen werden. Und die Unmöglichkeit, die Sozialdimension aus den Kommunikationslogiken herauszurechnen, um sich allein auf die Sachdimension zu besinnen wird vielleicht klarer, wenn man darauf hinweist, dass es auch eine Zeitdimension gibt. Denn wenn es nur eine Frage der Sache wäre, und wir uns auf Technologie verlassen könnten, würden wir unsere politischen und gesellschaftlichen Entscheidungen so fällen, wie Investitionsentscheidungen an der Börse gefällt werden: Milliarden in Millisekunden. Dort kann man jetzt schon sehen, was geht und was überhaupt gar nicht funktioniert.

사람들은 정치가가 직접 트위터로 한 말을 믿지 않는다. 누구든 그 것에 권위를 부여하고, 어떻게든 그 것에 대해 토론하고 저울질을 해봐야한다. 그리고 만약 시간적 요구가 있다면, 오직 사실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의사소통의 논리로 계산된 사회적 요구의 불가능을 더 명확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나서 그것이 그저 사실 질문이고 우리가 그것을 기술에 의지하고 있다면, 어떻게 주식시장에서 투자결정을 하게될 것인지, 우리는 우리의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결정을 하게 될 것이다: 눈 깜빡 할 사이에 수십억원이. 그리고 사람들은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지 이미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문:  Stefan Schulz: Glaubwürdigkeit - woher und wozu?   http://sozialtheoristen.de/2012/01/07/glaubwurdigkeit-woher-und-wozu/#more-3013

--------------------------------------------------------------------------------------------------------------------
위의 글은 전적으로 독일의 상황이 중심이기 때문에, 현재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SNS의 선거에서의 역할과 나꼼수와 같은 팟캐스트의 역할을 등한시 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이 글을 읽고 몇 가지 의문점을 제시해 봅니다.

1. 2011년말에 뉴욕타임스가 2011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10인으로 "시위자들"이라고 선정했습니다. 최근의 시위의 방식이 SNS의 의사소통을 시작으로 한다고 봤을 때, 그리고 기존 미디어가 이 과정을 후에 보도한다면, 이미 SNS의 소통방식이 기존 미디어보다 신속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또한 SNS에서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이슈를 생산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2. 2010년에 있었던 NRW주 선거에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사민당이나 녹색당원들이 선거의 참여를 독려한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독일의 경우 이미 환경적으로 결정된 정당 지지층이 많지만, 이러한 독려는 "독일 대학 수업료 폐지"와 관련해서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한 경우, SNS가 그저 미디어의 보도자료를 확대 재생만 한 게 아니라, 유권자들의 정치적 결정 (투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3. 물론 정치가들이 1:1로 모든 유권자들에게 답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지만, 정치가가 SNS로 유권자들과의 대화를 시도하고 그를 응답함으로써, 정치가와 유권자들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정치가가 직접 자신의 루머에 대해서 해소하거나, 자신의 의정활동을 SNS 이용자들에게 보고하면서 그를 답글을 통해서 그 반응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미디어로 보여지는 정치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요?

--------------------------------------------------------------------------------------------------------------------

사실 저의 경우는 페이스북을 통해서 독일의 정치가들의 의정 보고 활동을 받고 있고, 트위터를 통해서 한국 정치가들의 의정 보고 활동을 보고 받고 있습니다. 아직 직접적으로 질문을 한 적은 없지만, 어찌되었든 해당 정치가들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는 유권자들의 질문과 답변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나꼼수나 손바닥TV와 같은 매체들이 한국에서만 발견되는 특정한 일이라고 가정하고, 이 사실을 열외시킨다면, 역시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한 정치가들과 유권자들의 의사소통은, 부동층들에게 정치적 결정을 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그저 SNS의 역할을 기존 미디어의 확대 재생산으로 한정시키는 것은 너무 억지인 것 같습니다.